카테고리 없음

[53cut 스케치] ① 할머님들을 함께 지키고 그 옆에서 자리를 함께 해야 합니다

꼴P 2016. 1. 4. 05: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로그 꼴찌닷컴의 생각하는 꼴찌입니다. 


2016년 새해 첫 이슈는 지난 12월 28일 위안부 문제의 한.일 협약에 관한 반대여론인 것 같습니다. 지난 12월 30일 제 1211회 차 수요집회에 참석해서 현장 스케치를 한 후 새해 연휴 동안 소녀상 곁에서 농성중인 대학생들의 모습을 기록했는데요. 


꼴찌PD의 현장스케치 첫 포스팅은 위안부 할머니의 아픔을 함께하는 대학생들의 모습입니다. 



1 of 53 cut 


2015년 12월 30일 오전 10시 40분 경. 

안국역에 도착했다. 6번 출구로 나와 일본대사관으로 향하는 길에 경찰들이 불시 검문을 당했다. 


"기자신가요?" 

"아닌데요..." 


자신의 소속과 관등성명을 밝힌 경찰은 불법시위에 위험한 물건을 소지할 우려가 있다며 내 카메라 가방을 보자고 했다.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어린 경찰에게 왜 웃으며 수고한다는 말 한 마디 못했을까? 왜 싫은 내색을 하며 위험물건이 뭐냐고 되물었을까?


검문시간은 1분도 걸리지 않았다. 





2 of 53 cut


현장은 이미 수많은 시민들과 취재진으로 가득했다.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께서 마이크를 드셨다. 


"하늘에 가신 238명 할머니들도 한을 못 풀고 갔습니다. 그 할머니들 한도 풀어드리기 위해서 할머니들에게도 공식적인 사죄와 법적인 배상을 마땅히 받아야 합니다" 


아직 팔팔한 나이라며 공식적인 사과를 받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노라고 말씀하신 이용수 할머니. 할머니는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이 있던 때 일본인들에게 힘내세요! 라며 애도를 표한 바 있다. 할머니께서 가해자의 나라의 안녕을 빌어주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런 할머니께서 다시 분노하는 이유는 위안부 관련 합의의 주체가 되는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한 마디 상의없이 합의한 것과 더불어 합의 내용에 공식적인 사죄와 법적 배상 내역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3 of 53 cut



작은 체구의 한 여대생이 마이크를 들었다. 어디서 에너지가 용솟음 치는 것일까? 떨리는 목소리는 다소 흥분되고 격앙된 목소리였다. 


할머님들은 지금까지 저희를 지켜주셨다고 생각합니다올바른 역사가 기억되기 위해서대한민국의 정의그리고 세계의 정의가 바로 세워지게 하기 위해서 할머님들이 25년을 넘게 싸우셨습니다이제 우리가 나서서 할머님들을 함께 지키고 그 옆에서 자리를 함께 해야 합니다” _ 평화나비네트워크 전국대표 김샘 


 

4 of 53 cut


현재 살아계시는 위안부 할머니는 46명이라고 한다. 1991년 8월 14일, 故 김학순 할머니의 위안부에 관한 증언으로 국내외에 처음으로 피해사실이 밝혀졌고, 그 후 매주 수요일 오전에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수요집회가 열렸으며, 12월 30일 제 1211회차 수요집회 및 2015년 세상을 떠나신 9분의 할머니들의 추모회가 열린 것이다. 



5 of 53 cut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윤미향 대표는 현장에서 경과보고를 구호로 대신했다.


"일본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범죄가 국가의 정책에 의해 집행된 범죄임을 인정하라!"

"아베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이고 번복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죄하라!"

"일본정부는 피해자들에게 위로금이 아닌, 지원금이 아닌 법적인 배상금을 집행하라!" 

"일본정부는 역사 교과서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기록하고 교육하라!" 



  6 of 53 cut



극단 고래 관계자가 제 1211회 차 정기수요집회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명서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의 요구에 귀 기울여 올바르게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이었다. 



7 of 53 cut




정기수요집회 성명서 발표 후 2015년 세상을 떠나신 9명의 위안부 할머니를 추모하는 헌화와 애도의 시간이 이어졌다. 



8 of 53 cut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와 길옥원 할머니의 헌화를 시작으로 현장에 있는 시민들이 차례로 헌화와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 




9 of 53 cut


현장에는 1,000여 명 정도의 시민들이 참여했고, 앉을 자리가 모자라 미리 자리를 잡은 기자들에게 뒤로 물러나라는 요구를 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어린 아이를 데리고 집회에 참석한 가족들도 눈에 띄었다. 



10 of 53 cut



이용수 할머니의 헌화가 시작될 무렵, 어느 매체인지 모르겠지만 취재진이 앞으로 다가가면서 정렬되어 있던 포터라인이 무너졌고, 헌화를 준비하는 시민들과 취재진이 엉키며 잠시 혼란스럽기도 했다.




11 of 53 cut

  

하지만, 주최측의 일사분란한 진행으로 헌화한 시민들의 통로가 만들어지면서 순차적인 추모행진이 별 탈없이 진행될 수 있었다. 



12 of 53 cut


대한민국은 광복 70주년을 맞이했지만,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아직 해방이 오지 않았다고 말한다. 



 13 of 53 cut


<다음 편에서 계속>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