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찌닷컴 /별을 품은 달팽이의 문화산책

[꼴찌의 짧은 생각] #55. 가야금 맞짱 대결을 통한 국악의 대중화

꼴P 2017. 3. 6. 17:30
728x90
반응형


3월 5일 오후 5시. 청계산로에 있는 스페이스 207 갤러리에서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된 가야금 맞짱 대결 공연이 있었다. 가야금 산조에는 여러 류파가 있는데, 대표적인 김죽파류 시작해서 계승되어 내려오다가 6~7 류의 새로운 파가 파생되었다고 한다. 



이날 공연은 전통 김죽파 류파의 가야금 연주자 이지연 씨와 홍대에서 모던 가야그머라는 타이틀로 싱어송라이터로도 활동 중인 서공철 류파의 가야금 연주자 정민아 씨가 갤러리 측의 공연 의뢰를 받은 데서 시작됐다. 둘이 공연 준비를 하다가 맞짱 대결 형식으로 공연을 해보면 어떻게냐며 스스로 기획한 공연이었다. 



우선, 53초 미리보기 영상





모던 가야그머 정민아 씨는 꼴찌닷컴을 통해서도 소개한 바 있고, 개인적으로도 아는 사이다. 정민아 씨와 절친 사이인 지인이 꼴찌에게 공연 촬영을 부탁했다. 배틀 형식으로 공연이 이뤄진다는 사실에 호기심이 생겼다. 그리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공연은 소름 돋고 신명 나는 공연이었다. 



자세한 포스팅은 좀 더 공부를 하고 정리하기로 하고, 오늘은 짧은 생각만 정리하고자 한다. 공연 영상의 가편 편집을 방금 전에 마치고 느낀 생각을 정리하는 글이다. 만약, 


가야금 산조 독주 공연이었다면 평소 우리 국악에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는 다소 지루할 수도 있다. 물론, 어려서부터 꾕가리 소리만 들어도 어깨를 들썩일 정도로 흥이 있는 꼴찌는 나름 즐겼을 테지만 말이다. 


전문적인 용어를 함부로 표기하기가 조심스럽지만, 이 맞짱 대결의 하이라이트는 전통 김죽파 류파의 이지연 가야금 연주자의 자진모리 연주와 서공철 류파의 정민아 가야금 연주자의 휘모리 연주의 순간이었다. 빠른 오른손 손가락 놀림에 의해 공간에서 울리는 장단은 관객들의 아드레날린 분비를 촉진시킨다고 느끼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장구 고수 최영진 씨의 신명 난 연주가 이 둘의 싸움을 화해 모드로 정리하는 듯했다. 마지막 양 연주자의 차분하고 섬세한 가야금 선율은 들썩이던 어깨를 가라앉게 하며 심호흡을 하게 한다. 





공연의 백미는 두 가야금 연주자의 만담과도 같은 입담이었다. 류파의 성격을 대변이라도 하듯 걸쭉하고 터프한 입담으로 좌중을 압도한 정민아 연주자와 그에 질세라 차분하고 섬세하면서도 예민하게 맞장구를 친 이지연 연주자. 두 연주자의 내공은 가야금 뿐만 아니라 해학과 위트까지 겸비된 연주자였다. 





이날 공연장에는 취재진이 한 명도 없었다. 그래서, 이 공연 영상은 고스란히 꼴찌 PD의 단독 영상이 되었다. 이 영상을 편집하면서 스친 짧은 생각은 국악 하면 떠오르던 KBS 국악 한마당! 정형화된 프로그램에서 절대 볼 수 없던 공연이라는 점이다. 기획과 시선만 조금 비틀면 재밌고 대중적인 경연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겠다는 짧은 생각이 스쳤다. 


힙합의 대중화를 보면서, 

해학과 풍자가 담긴 국악 배틀은 문화콘텐츠로 어떨까?



서양의 힙합이 배틀 형식으로 케이블과 종편 방송에서 낮지 않은 시청률로 대중에게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랩 배틀 디스전을 보면 자극적이고 욕설이 난무하는 싸움판이 장르로 포장되는 경우도 있다. 아니, 포장이라기 보다 저항의 본질, 자유로운 문화의 하나로 본다. 문화의 하나로서 국악 배틀 형식도 류파가 파생되었듯이 파생될 수 있는 게 아닐까? 


물론, 전통과 예를 중시하는 국악인들의 비판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소리에는 해학과 풍자가 담겨 있지 않은가 말이다. 남사당패 곡예로 왕을 비판하는 게 아니라 우리 전통악기와 우리 소리로 해학과 풍자의 대결을 한다면 대중에게 대리만족을 선물할 수 있지 않을까? 촬영본 가편집을 하면서 몇 가지 아이디어가 스쳤다. 개국 준비 중인 꼴찌TV에서 선보이고 싶은 코너까지 즉흥적으로 기획했다. 


우리 것이 소중한 것이라고 말만 할 게 아니다. 소중한 것은 전통 그대로 보전하고 계승하는 것도 절대 중요하지만, 모던 가야그머라는 생소한 타이틀을 제시하며 열두 줄의 가야금에서 25줄의 가야금으로 변형된 악기를 연주하는 정민아 씨처럼 우리 소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가는 시도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날 모던 가야그머는 본인 말대로 산조 연주 좀 하는 여자였다. 기본이 사라지지 않는 한 전통도 사라지지 않는다. 어디 감히 우리 소리, 우리 음악으로 대결을 해!라고 지적을 하시는 분들도 계실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공연을 촬영하고 관람하면서 느낀 감정은 이런 시도가 의미 있다는 것이다. 이날 공연 관객들은 평균 30대로 보였고, 학생들도 있었다. 두 연주자의 연주가 끝나고 공간을 울린 박수소리는 형식적인 박수가 아니라고 느꼈다.  





아마도 두 가야금 연주자의 맞짱 대결은 다시 이뤄질 것 같다. 왜냐하면 패자가 설욕을 위해 이를 갈고 있기 때문이다. 


글/사진/ 영상 ⓒ 꼴찌닷컴 

취재 문의 : 꼴찌PD kkolzzi74@gmail.com  


    

728x90
반응형